사업목적
-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사업화 통합 지원 플랫폼 구축을 위하여, 산업체 연구실, 대학원 산학협력 석·박사과정, 학부 3~4학년생과 지도교수가 함께 연구실을 운영함으로써, 대학의 인프라를 공동 활용하고 산학연계 공동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서로의 인적, 물적 자원을 체계적으로 공유하는 맞춤형 산학 협력 체제 지원
- 국내·외 기업 및 부설연구소,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대학을 산학협력 집적기지로 육성하기 위하여, 대학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및 연구 인프라를 제공하고 입주 기업은 제품화·사업화에 역량을 집중하는 산학협력의 공간적 하드웨어 조성
- 산학융합연구실은 산학연계 연구를 통한 산학공동연구의 결과물인 특허, 아이디어, 기술지원 등을 통해 기업에서는 기술사업화를 주도하고, 연구실에서는 전문인력 양성과 창업, 취업의 연계가 가능한 기회 마련
- 다양한 기업 및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해 융복합 분야 및 비 자연계열(인문사회, 예체능분야 등) 분야까지 확대 추진하고자 함
- 교수
- 학생
- 기술
- 장비

-
- 기업
-
Factory Lab 기반
현장실습 및 캡스톤디자인, 학생교육 참여(LINC in Class)
재직자교육, 기업인사의 대학교육 참여
취창업 지원, 기술이전
-
- 지역사회
-
Living Lab 기반
지역사회 애로문제 해결
지역인사의 교육 참여
지역사회기여 및 혁신활동
지역정책 공용대응
중점지원 분야
분야 | 세부내용 |
---|---|
Living Lab |
|
Factory Lab |
|
지원 산업분야 및 내용
분야 | 세부내용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
공통특화 | 코슈메슈티컬 산업 | 화장품 및 제약 산업분야 기업연계형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한 산학협력 활동 | ※ 특화분야 우선선정 |
기능성바이오 산업 | 화장품 및 식품 산업분야 기업연계형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한 산학협력 활동 | ||
셀프케어 산업 | 보건의료산업 분야(의과학대학) 및 웰니스산업 분야(웰니스융합대학)와 연계한 기업 및 기관 간 협업을 통한 네트워크 구축 - 기업연계 및 지역사회 연계 모두 포함 - 마을기업, 사회적 경제, 진로체험, 급식 등 다양한 분야의 지역사회 연계 활동 |
||
리빙케어 사업 | |||
일반분야 | 특화분야에 속하지 않은 그 외 일반 분야 |